0. 디버깅(Debugging)이란?
프로그램이 원하는 대로 실행되지 않을 때, 코드를 한 줄씩 실행해보며 잘못된 부분을 찾아 이를 고치는 것을 의미한다.
이번 글에서는 이클립스에서 디버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.
1. Breakpoint 설정하기
원하는 코드가 있는 줄의 왼쪽 공간에서 우클릭-Toggle Breakpoint
2. 디버그 모드 실행하기
탭의 벌레 모양 또는 Run-Debug를 눌러서 실행함
3. 실행 중 Breakpoint 만났을 때 뜨는 창에서 Switch 선택하기
실행 중 Breakpoint를 만났을 때 디버깅을 위한 view로 전환하겠냐고 물어보는 내용이다. Switch 버튼을 누르면 디버깅 화면으로 전환된다.
4. 디버깅 화면 설명
1) 디버그 실행할 수 있는 버튼들
![]() |
Step Into(F5) : 한 단계씩 수행 |
![]() |
Step Over(F6) : 함수 단위 수행 |
![]() |
Step Return(F7) : 호출한 곳으로 되돌아가기 |
2) 코드 창
화살표를 눌러서 실행할 때마다 초록색 칸의 위치가 변하는데, 이는 지금 검사하고 있는 줄을 표시해주는 기능이다.
3) Variables 창
디버그를 수행하면서 변수 값과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.
4) Breakpoints 창
현재 설정되어 있는 Breakpoint들을 보여준다. Breakpoint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.
5) Expressions 창
'+ Add new expression'을 누른 후, 본인이 확인하고 싶은 변수명을 입력하면 그 값을 알려준다.
(아래 사진은 변수 a와 변수 b를 검색해 그 값을 알아낸 예시이다.)
댓글